TECHARTNOMAD | TECHARTFLOWIO.COM

UNREAL ENGINE

언리얼 엔진 5.5.X 인스톨빌드 이슈 회피에 대하여.

jplee 2025. 3. 23. 19:37

5.4.4 에서 5.5 로 올라가면서 nuget 종속성 위험과 닷넷 관련 된 이슈가 좀 있습니다.
결국 이 것 때문에 인스톨빌드까지 진행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요.
제가 테스트 하여 정상 빌드 한 내용을 정리 하자면 ( 두서 없이 )

팀씨티의 경우 가장 속편하게.... 기존 엔진빌드 쪽을 사용하지 않는다.
신규 빌드 스텝을 만든다.
회사 버전서버에서 버전을 완전히 새로 땡겨온다.
 
그리고 선행으로는 
비주얼 스튜디오 최신화를 해야 합니다.
 
깃랩에서 우리 엔진을 땡겨 온 디렉토리에 가서 프로젝트 생성 후 꼭 비주얼 스튜디오로 솔루션 열어보기 진행 해야 합니다.
열린 솔루션에서 Nuget 종속성 심각한 위험 메시지가 완전히 없어야 합니다.
 
종속성 위험 해결법.
누겟 리스토어 하기. ( 라이더 등이 쉽다 )
 
어제 별도로 보낸 메일 내용에서 누겟 리스토어만 참조. 다른건 다 무시해도 됨.
 
Engine/Saved 에서 잦은 애러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 됨.
cpp 단 애러 아니고 csproject 의 누겟 종속성 문제임. 이 종속성 문제는 약간 렌덤화 처럼 느껴졌지만 저의 경우 언리얼 Swarm 솔루션 중 csproject 에서 종속성 애러 나고 빌드 실패 했었음.
 
만약 새로운 팀씨티 빌드 스텝을 만들고 싶지 않다면 Saved 디렉토리 제거하기 , Intermediate 제거 하기.
후 다시 셋업 배치파일 실행 하고 변경 된 바이너리 로 Y 하기. ( 수동으로 )
프로젝트 생성하기.
 
팀시티에서 셋업배치 제외하기.
팀시티에서 프로젝트 제네레이트 제외하기.
후 바로 빌드 실행.

 
그 다음으로 집에서 테스트 하며 해결 한 방법.

집에서 해결한 방법.
깃랩 다시 받지는 않았음.
비주얼 스튜디오 최신화.
Saved 데이터 완전히 제거.
Setup 배치파일 실행.
프로젝트 생성.
역시 라이더 또는 비주얼 스튜디오 최신화 버전을 사용해 누겟 종속성 위험 파악하고 제거하기. 
누겟 리스토어 한번 처리 하고.... 라이더로 프로젝트 열고 터미널 사용해서 인스톨 빌드 실행.
 
이 전 애러 없이 모두 빌드 성공.
로컬빌드 파일 생성 성공.